2007-12-26
안녕하세요 호스트센터(주) 시스템관리부 시스템보안팀입니다.
해당 시스템 운영하시는 고객분께서는 반드시 아래내용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
문의 : 02-6265-1108
담당자 : 김봉기
□ 개요
o Adobe Flash Player의 원격코드실행 및 크로스사이트 스크립팅 취약점에 대한 패치를 발표함[1]
o 조작된 플래시 파일로 인하여 취약 버전의 Flash Playe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싱 및 악성코드
감염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최신버전 설치가 권고됨
□ 해당프로그램
o Adobe Flash Player 9.0.45.0 이하 버전
o Adobe Flash Player 8.0.34.0 이하 버전
o Adobe Flash Player 7.0.69.0 이하 버전
□ 설명
o 아래와 같이 총 9건의 Adobe Flash Player 취약점에 대한 패치가 발표됨
- CVE-2007-4324[2]: 사용자가 플래시파일(확장자:SWF)을 실행할 때 원격에서 열려진 포트
정보를 알 수 있는 취약점
- CVE-2007-4768[3]: 플래시파일(확장자:SWF)을 처리할때 발생하는 원격코드실행 취약점
- CVE-2007-5275[4]: DNS Rebinding을 이용한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취약점
- CVE-2007-5476[5]: Mac운영체제의 Opera웹브라우저에 사용된 Adobe Flash Player 취약점
- CVE-2007-6242[6]: 플래시 파일에 삽입된 JPG파일의 세로 길이, 가로 길이 값을 JPG
Header에서 조작하여 발생하는 원격 힙 오버플로 취약점
- CVE-2007-6243[7]: 크로스 도메인 정책 파일을 변경하여 웹 서버 내 보안 정책을 우회하는
권한 상승 취약점
- CVE-2007-6244[8]: 액션 스크립트 중 navigateToURL함수의 파라미터 값을 올바르게
처리하지 못하여 스크립트 코드가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 내 사이트에 삽입되는 원격
코드 실행 취약점
- CVE-2007-6245[9]: HTTP헤더를 조작하여 발생하는 크로스 사이트 스크립팅 취약점
- CVE-2007-6246[10]: Adobe Flash Player가 메모리 접근권한을 설정하는 과정에서 권한
상승이 발생하는 취약점
o 상기 취약점을 이용하여 조작된 플래시 파일이 삽입된 홈페이지나 이메일을 취약버전
사용 피해자가 방문 또는 읽는 경우에 피싱 및 악성코드 감염 등 피해를 입을 수 있음
□ 해결방안
o 최신의 보안패치를 설치하여 사용[11]
- Adobe Flash Player 9.0.115.0(Win, Mac, Linux)
- Adobe Flash Player 9.0.47.0(Solaris)
o 향후에도 유사 취약점 노출로 인한 피해예방을 위해 아래와 같이 안전한 브라우징 습관을
준수해야 함
- 신뢰되지 않은 웹사이트 방문 및 이메일 열람 주의
- 개인방화벽과 백신제품의 사용 등
□ 참고사이트
[1] http://www.adobe.com/support/security/bulletins/apsb07-20.html
[2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07-4324
[3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07-4768
[4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07-5275
[5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07-5476
[6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07-6242
[7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07-6243
[8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07-6244
[9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07-6245
[10] http://cve.mitre.org/cgi-bin/cvename.cgi?name=CVE-2007-6246
[11] http://www.adobe.com/shockwave/download/download.cgi?
P1_Prod_Version=ShockwaveFlash
[참 고]
1. 용어 정리
o Adobe Flash Player : Adobe社가 개발한 Flash 파일 재생 프로그램
o Flash : 이미지, 음성 및 동영상 등을 하나의 파일 형태로 저장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형식
o 크로스사이트 스크립팅 취약점 : 이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사이트의 도메인 이름은 다른
사이트의 컨텐츠가 웹 브라우저에서 보이도록 하여 정상적인 사이트로 착각하게 하는 취약점
o DNS Rebinding 공격: 공격자가 조작한 플래시는 DNS서버에서 플래시와 연결된 사이트의
IP 주소를 수신함, 공격자가 DNS서버를 통해 다른 IP 주소로 재연결(rebinding)하면 동일한
IP 주소로 착각하고 통신하게 하는 공격 방법
o 액션 스크립트: 플래시 아이콘 클릭 시 실행되는 스크립트
2. 기타 문의사항
o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인터넷침해사고대응지원센터 : 국번없이 118
참조 : 인터넷침해사고대응센터